비상상황 대비 및 대응 시스템 개선 - EPR (Emergency Prepare & Response)
DNV 산업안전보건 자문서비스 - 비상상황 대비 및 대응 시스템 개선
모든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, 이를 완벽히 실현하기는 어렵습니다. 따라서, 효과적인 안전관리는 위험요인을 식별하고, 중요도를 평가하며, 적절한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선제적 예방 관리(Proactive Control) 와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관리(Reactive Control) 로 구성됩니다.
예방 단계보다 대응 단계가 더 효율적인 경우도 있으며, 예방과 대응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실질적인 손실관리 경영(Loss Control Management) 이 정착될 수 있습니다. 대응 단계의 체계가 미흡할 경우, 사고 발생 시 조직의 안전문화 정착과 지속적인 개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비상상황 대비 및 대응 시스템의 중요성
비상상황 대비 및 대응 시스템의 개선은 조직 내 관리감독자 및 안전보건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, 훈련을 통해 비상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- 비상사태의 정의 및 대응 목적 이해
-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사태를 파악하고, 효과적인 대응 절차를 마련
- 비상사태 대응 시나리오 개발 및 실질적인 대응 훈련 방안 수립
프로그램 구성
- 비상대응 조직 구성 및 역할과 책임 명시
- 역할과 책임의 적절성 및 보완책 확인을 위해 정기/수시로 훈련 주기 및 방법
- 단위 조직, 직무 및 작업구역 별로 발생 가능한 비상사태 시나리오의 지속적인 개발
- 사무직 인력(본사, 현장 사무실 등)에 대한 비상사태의 정의, 대비 훈련 프로그램
- 훈련 관리
- 비상대응 시스템 평가 Tool 개발